home  커뮤니티 > 강좌 수강후기

강좌 수강후기

제 목 The Economist 통번역 + 영어토론 + 에세이- 1일차 수업내용 후기 및 정리
작성자 admin 등록날짜 2016-06-16 14:18:25 / 조회수 : 3,221
  •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5월달 이코노미스트 통번역+영어토론+에세이  서포터즈를 맡은 김진민입니다.

     

    저는 2년 전부터 관심이 있었던 코트라를 염두해 두던 중 우연히 인터넷 검색으로 톰슨에듀를 알게 되었습니다.

     

    매번 다녀야지 이러면서 학교에서 이래저래 하다보니 4학년이 되어 듣게 되어 아쉽지만 보람찬 수업으로 !!

     

    더욱 열심히 해야되겠죠..

     

    먼저 수업의 일정은 크게 3파트로

    1) 오전 10: 00- 11:00   이코노미스트 영어통번역

    2) 오전 11:00-12:00     영어찬반토론

    3) 오후  12:00- 13:00   영어 에세이 작성 및 첨삭지도로 구성되었습니다.

     

    저의 부족한 영어실력으로 서포터즈를 하려니 부담스럽지만, 배우는 입장에서는 뭐든지 열심히 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니까~ㅋㅋ

     

    저는 제 나름대로 정리하며 올리겠습니다. 가끔 게시판 보면 어느 정도 실력으로 이코노미스트 수업을 듣냐는 질문이 있는데..

     

    저도 잘 못하는데 듣습니다.. 그러니 다들 좋은 수업+ 알찬 효과를 얻기 위한 개인의 열정만 있다면 누구든 들으신다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초반에 구성원 멤버들(저 포함 7명)이 번갈아가며 한 단락씩 번역을 합니다. 물론 매끄럽지 않아도

     

    해석을 하면 톰슨선생님께서 바로 잡아주시기에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이렇게 전체적으로 번역을 하면 선생님이 총 정리를 해주시며 개념에 대한 폭넓은 설명을 통해 이해를 도와주십니다.

     

    그 다음 찬성/반대 팀을 나누어 5분 정도 각자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할 근거를 정리한 후 열띤 토론을 합니다.

     

    토론이 가장 겁나지만 하면 하는만큼 늘 것이라며 믿으며 열심히 해야겠네요 ㅠㅠ,, 여튼 이번 첫 토론 수업을 하며 저의 부족한

     

     점과 다른 분들의 논리적인 의견 등 배울 건 배우고 보완할 부분은 더 보완해 한 회차가 거듭할수록 더 나아지게 노력해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논리적인 글쓰기를 위한 에세이시간~!! 역시 한글로 쓰는 글도 어려운데 영어라니... 그래도 쓰면 더욱 늘어나리라

     

     믿으며... 열심히 30분간 앞 시간에 토론했던 내용을 상기시키며 씁니다. 약 30여분간 글을 다 쓴 후 샘에게 제출하면 나중에 첨삭

     

    확인을 받을 수 있답니다.ㅎㅎ 이제 오늘의 수업후기를 이만 쓰고 기사 본론에 들어가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2016.04.30일 이코노미스트 기사< How to mwasure prosperity>를 다루었습니다.

     

    < 내용 정리 - 다른 기사 참조 + 요약정리 >

        

    한 나라 안에서 이루어진 모든 생산활동의 총합을 뜻하는 국내총생산(GDP)은 국가의 경제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GDP는 1930~1940년대 경기 침체와 전쟁을 겪으면서 ‘생산’을 강조하던 시대에 탄생했다. 경제성장률과 경기 회복을 가늠하는 도구로도 널리 쓰인다. 과거 제조업 중심의 대량 생산방식인 사회에서 서비스 산업으로의 발전에 따라 GDP의 유용성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경제의 축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이동하면서 GDP가 놓치는 부분들이 늘어났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제활동만 계산하기 때문에, 가사노동이나 육아의 가치는 제외된다. 반면 환경을 파괴하는 일조차 ‘경제활동’으로 분류돼 생산적인 일로 기록된다.

     

    디지털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한계는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일례로 이 수치에는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유튜브 등이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나 에어비앤비, 우버택시 같은 공유경제 활동은 포함되지 않는다.서비스업 중심의 사회에서 비(非)물질적인서비스는 측정하기 어려운 대상이면서 삶의 질을 고려하지 못한 GDP는 삶의 질적인 변화를 고려하지 못한 왜곡된 지표를 보여준다. 이전부터 GDP만을 경제나 사회 발전의 척도로 볼 수 없다는 지적은 꾸준히 나왔다. 여기서 이코노미스트는 “GDP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측정도구인 ‘GDP 플러스’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How to measure prosperity? By. the Economist 2016/04/30 

    GDP is a bad gauge of material well-being. Time for a fresh approach.(주제)

     

    WHICH would you prefer to be: a medieval monarch or a modern office-worker? The king has armies of servants. He wears the finest silks and eats the richest foods. But he is also a martyr to toothache. He is prone to fatal infections. It takes him a week by carriage to travel between palaces. And he is tired of listening to the same jesters. Life as a 21st-century office drone looks more appealing once you think about modern dentistry, antibiotics, air travel, smartphones and YouTube.

     

    당신은 중세 군주를 아니면 현대 사무실 직원이 되는 것을 선호합니까?

    왕은 신하 부대를 갖고 있다. 그는 가장 세련된 실크 옷을 입고 가장 비싼 음식을 먹는다. 그러나 그는 끊임없이 치통에 시달린다. 그는 치명적인 감염에 걸리기 쉽다. 그가 마차로 궁전들 사이를 거니는 데에는 일주일이 소요된다. 그리고 그는 매번 똑같은 광대들에 싫증이 난다. 21세기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드론의 모습과 같은 삶은 현대의 치과, 항생제, 비행기 여행, 스마트폰 그리고 유트브를 고려해 본다면 더욱 매력적인 대안이다.

     

    *martyr: 순교자/(질병 등에) 끊임없이 시달리는 사람-> martyr to toothache 치통에 시달리는 사람 

     *jester : 어릿광대

     

     

    The question is more than just a parlour game. It shows how tricky it is to compare living standards over time. Yet such comparisons are not just routinely made, but rely heavily on a single metric: gross domestic product (GDP). This one number has become shorthand for material well-being, even though it is a deeply flawed gauge of prosperity, and getting worse all the time (see article). That may in turn be distorting levels of anxiety in the rich world about everything from stagnant incomes to disappointing productivity growth.

     

    그 질문은 단순 실내 퀴즈게임 수준 그 이상을 의미한다. -> 상당히 난해한 질문이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활수준을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곤란한 것인지 나타낸다. 그러나 그러한 비교는 일상적으로 이뤄질 뿐만 아니라 유일한 측정기준인 국내총생산량인 GDP 에서 볼 수 있다. 이 하나의 숫자는 성공을 측정하는 데 있어 많은 결점을 가진채 줄곧 문제가 더 악화되었을지라도 물질적 행복을 일컫는 약칭이 되었다.

     

    *parlour game: 실내 게임(퀴즈 따위) *metric 미터법

     

    Defenders of GDP say that the statistic is not designed to do what is now asked of it. A creature of the 1930s slump and the exigencies of war in the 1940s, its original purpose was to measure the economy’s capacity to produce. Since then, GDP has become a lodestar for policies to set taxes, fix unemployment and manage inflation.

     

    GDP 옹호론자들은 그 통계가 오늘날 요구되는 것을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1930년대 불황의 산물이며 1940년대 전쟁의 급박한 사태에 고안된 그것의 본 목적은 경제의 생산능력을 측정하기 위함이었다. 그 이후로, GDP는 세금 부과, 실업률 파악, 그리고 인플레이션 조정을 위한 정책의 지침이 되었다.

     

    *lodestar 북극성/ (행동)지침

     

    Yet it is often wildly inaccurate: Nigeria’s GDP was bumped up by 89% in 2014, after number-crunchers adjusted their methods. Guesswork prevails: the size of the paid-sex market in Britain is assumed to expand in line with the male population; charges at lap-dancing clubs are a proxy for prices. Revisions are common, and in big, rich countries, bar America, tend to be upwards. Since less attention is paid to revised figures, this adds to an often exaggerated impression that America is doing far better than Europe. It also means that policymakers take decisions based on faulty data.

     

    그러나 그것은 종종 몹시 부정확하다. 나이지리아의 GDP 성장률은 통계학자들이 그들의 방식을 적용한 결과 2014년 89%까지 급등했다. 추측이 난무하는데, 영국에서 성매매 사업의 규모는 남성 인구에 비례하여 확대되었다. 랩댄싱을 추는 클럽들에 지불하는 금액은 가격이 대신한다. 개정은 흔히 이루어지며 미국을 제외한 부유한 대국들에서는 가격이 더 올라간다. 수정된 수치에 적은 관심이 주어지기에 미국이 유럽보다 훨씬 더 호조를 보인다는 과장된 인식을 심어주게 된다. 이는 또한 정책입안자들이 잘못된 데이터에 근거해 결정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number cruncher: 계산 업무를 주로 하는 사람-> 통계학자들, 데이터전문가들

    *lab dancing : 랩 댄싱( 술집에서 스트리퍼 등이 손님에게 몸을 밀착시키거나 무릎에 앉아 추는 관능적인 춤

     

    If GDP is failing on its own terms, as a measurement of the value-added in an economy, its use as a welfare benchmark is even more dubious. That has always been so: the benefits of sanitation, better health care and the comforts of heating or air-conditioning meant that GDP growth almost certainly understated(과소평가한다) the true advance in living standards in the decad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But at least the direction of travel was the same. GDP grew rapidly; so did quality of life. Now GDP is still growing (albeit more slowly), but living standards are thought to be stuck. Part of the problem is widening inequality: median household income in America, adjusted for inflation, has barely budged for 25 years. But increasingly, too, the things that people hold dear are not being captured by the main yardstick of value.

        ->GDP는 삶의 질을 과소평가했지만, 경제가 발전해 온 방향성과 일치한다. 그러나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GDP에서 누락된다는 점은 문제이다.

     

    * on its own terms 있는 그대로, 자기만의 방식으로 *value-added 부가가치

    *budge 약간 움직이다, 꼼짝하다/ 의견을 바꾸다 * hold sth dear : ~을 매우 좋아하다, ~을 소중히 여기다

    *benchmark= yardstick 기준, 척도 *of value= valuable 가치 있는

     

    With a few exceptions, such as computers, what is produced and consumed is assumed to be of constant quality. That assumption worked well enough in an era of mass-produced, standardised goods. It is less reliable when a growing share of the economy consists of services. Firms compete for custom(맞춤화 경쟁을 한다) on the quality of output and how tailored it is to individual tastes. If restaurants serve fewer but more expensive meals, it pushes up inflation and lowers GDP, even if this reflects changes, such as fresher ingredients or fewer tables, that customers want. The services to consumers provided by Google and Facebook are free, so are excluded from GDP. When paid-for goods, such as maps and music recordings, become free digital services they too drop out of GDP. The convenience of online shopping and banking is a boon to consumers. But if it means less investment in buildings, it detracts from GDP.

    -> 현재 서비스 중심의 산업에서 GDP에 반영되지 않는 것들에 대한 내용

     

     

    Stop counting, start grading

     

    Measuring prosperity better requires three changes. The easiest is to improve GDP as a gauge of production. Junking it altogether is no answer: GDP’s enduring appeal is that it offers, or seems to, a summary statistic that tells people how well an economy is doing. Instead, statisticians should improve how GDP data are collected and presented. To minimise revisions, they should rely more on tax records, internet searches and other troves of contemporaneous statistics, such as credit-card transactions, than on the standard surveys of businesses or consumers. Private firms are already showing the wayscraping vast quantities of prices from e-commerce sites to produce improved inflation data, for example.

    *junk : 폐물로 처리하다 * contemporaneous 동시에 존재하는

     

    Second, services-dominated rich countries should start to pioneer a new, broader annual measure, that would aim to capture production and living standards more accurately. This new metric—call it GDP-plus—would begin with a long-overdue conceptual change: the inclusion in GDP of unpaid work in the home, such as caring for relatives. GDP-plus would also measure changes in the quality of services by, for instance, recognising increased longevity in estimates of health care’s output. It would also take greater account of the benefits of brand-new products and of increased choice. And, ideally, it would be sliced up to reflect the actual spending patterns of people at the top, middle and bottom of the earnings scale: poorer people tend to spend more on goods than on Harvard tuition fees.

     

    -> GDP의 한계를 보완한 새로운 지표인 GDP + 플러스는 무보수노동/ health care(증가된 수명,건강) /소비자의 선택폭 이점/ 소득계층별 소비패턴  등 보다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한다.

     

     

    Although a big improvement on today’s measure, GDP-plus would still be an assessment of the flow of income. To provide a cross-check on a country’s prosperity, a third gauge would take stock(재고를 쌓는 것), each decade, of its wealth. This balance-sheet(대차대조표) would include government assets such as roads and parks as well as private wealth. Intangible capital—skills, brands, designs, scientific ideas and online networks—would all be valued. The ledger should also account for the depletion of capital: the wear-and-tear of machinery, the deterioration of roads and public spaces, and damage to the environment.

    ->각 국의 대차대조표, 즉 한 개별국가의 부의 총량을 고려하여 비교하는 새로운 측정치를 대안으로 제시함

    * ledger 원장(수입과 지출 내역에 대해 기록하는 문서)

    *wear-and-tear: 손상, 소모, 질(가치)의 저하

     

    Building these benchmarks will demand a revolution in national statistical agencies as bold as the one that created GDP in the first place. Even then, since so much of what people value is a matter of judgment, no reckoning can be perfect. But the current measurement of prosperity(GDP를 의미한다)  is riddled with errors and omissions. Better to embrace a new approach than to ignore the progress that pervades modern life. (주제)

    -> 현대 삶의 변화를 무시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접근으로 더 나은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 be riddled with ~로 가득하다, -투성이다

     

    *개인적인 의견- GDP 대신 새로운 기준 도입하는 것  반대하는 입장

     

    결국 오늘의 기사 주제는 문제점이 많은 GDP를 보완하여 현대 삶에 보다 정확한 지표의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것이네요~! 그러나 모든 것에는 주관적인 요소가 작용하는데요.. 과연 새로운 지표기준을 도입한다 할지라도

     

     과연 완벽한 지표가 될 수 있을까요? 거의 80여년 간 이용되어 온 GDP를 바꾼다면 전세계에 미치는 그 여파는

    매우 클 것이라 예상됩니다.  

     

    흔히 GDP 비판론자들은 GDP가 높다할지라도 삶의 불평등은 더 심화되며 삶의 질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삶의 질 같은 무형적인 요소를 어떠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 그리고 반영한다면 어떤 요소들을 얼마나 포함시킬 것인가 등 많은 것들이 고려되야 합니다. 성장의 양과 질, 비용과 이익, 단기와 장기 이익을 확실히 구분하는 것처럼 뚜렷하게 기준을 세우기는 어렵다 생각됩니다.  또한 새로운 지표들은 경제 주체들에게 어떠한 긍정적.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인지 보다 자세히 생각해봐야 할 것입니다.

     

    그럼 더 나아지는 요약을 위해...보다 더 집중하며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전글 The Economist 통번역 + 영어토론 + 에세이- 2일차 수업내용 후기 및 정리- 16.05.13-|
다음글 [수업후기] 코트라 직무역량평가 5~6월강좌 수업사진(6/11, 5회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