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 강좌 수강후기

강좌 수강후기

제 목 The Economist 통번역 + 영어토론 + 에세이- 3차 수업내용 후기 및 정리- 16.05.18-
작성자 admin 등록날짜 2016-06-16 14:20:29 / 조회수 : 3,317
  • 안녕하세요~ 오늘은  3일차 수업입니다.

     

    통화정책은 통화당국인 중앙은행이 돈의 양인 통화량이 돈의 가격인 금리를 조정함으로 국민경제의 안정을 꾀한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양적완화를 시행하며 공중에서 돈 뿌리는 헬리콥터로 비유할 만큼 시중에 많은 돈을 풀었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미국경제가 안정화 되었다고 판단하는 상황에 기대어 금리 인상을 하려는 움직임이 작년부터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자국의 경제만을 위한 정책인지, 세계 경제를 고려한 조치인지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세계 경제를 지배하는 미국의 달러 힘은 강력할 뿐만 아니라 기준금리 인상여부를 두고 전세계가 집중을 하게 되는!

     

    미국! 오늘은 연방준비은행의 금리인상 시행여부를 두고 논의를 하는 내용입니다. 금리인상시기를 언제 해야 되는 것인가?

     

    DC hold’em-> (워싱턴 D.C. 의 도박)

     

    How long will the Fed keep rates steady? Apr 30th 2016 

    (*hold em : greatest variation of poker invented. A game where players are dealt two cards face down, then 5 cards are dealt face up in the middle. the best 5-card hand wins. Also known as texas hold em or Texas Hold-em' ) 

       

     

    IF ANY other lift-off were so sluggish, you would not want to be aboard the rocket. In December the Federal Reserve raised interest rates from close to zero, where they had been since 2008, to between 0.25% and 0.5%. At the time members of its rate-setting committee said they expected four more increases in 2016.

     

     무엇보다도 이륙(->금리 인상을 의미함)이 너무 느리다면 당신은 로켓탑승을 원치 않을 것이다. 지난 12월, 연방준비은행은 2008년 이후 계속 제로에 가까운 금리를 수준인 금리를  0.25%에서 0.5% 안으로 인상하였다. 그 당시 금리결정위원들은 2016년에 네 차례 더 인상할 것이라 예상했다고 밝혔다.

     

    ☜ 역사적으로 실제 금리는 테일러준칙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좌측에서 확인할 수 있음.

    ※실제금리(Actual rate)- 남색 / Taylor rule 금리 - 노란색

     

     

     

    ▶테일러 준칙(Taylor Rule)이란? 

    * (rate) 금리 = 균형명목정책금리 + a *인플레이션 gap(실제-명목) + b* GDP gap (실제-잠재)

    ▶ 미국 경제학자 존 테일러 교수가 제시한 통화정책 운용준칙으로, 적정 인플레이션율과 잠재 GDP 아래에서의 균형금리 수준을 의미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 Bank; FRB), 한국은행(Bank Of Korea; KOB)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평가하는 지표로 테일러 준칙을 활용함. 쉽게 말하면 기준금리가 적정수준인지를 가늠하는 모델.

    ▶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을 감안해서 이루어짐.

    ▶ 중앙은행의 이러한 의사결정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이 테일러 준칙(Taylor Rule).

     

    In economics, a Taylor rule is amonetary-policy rule that stipulates how much the central Bank should change the nominal interest rate in response to changes ininflation,output, or other economic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rule stipulates that for each one-percent increase in inflation, the central bank should raise the nominal interest rate by more than one percentage point. This aspect of the rule is often called the Taylor principle. ( 출저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이 정의대로라면 2008년 이후에 연준은 테일러준칙에 따라 마이너스 금리로 타격을 입을지라도 시행했어야함. 이는 일시적 충격일 것이며, 추후 기회복에 더 빨리 나아갈 수 있었다. 하지만 연준은 2008년 이후 이와 다르게 제로 금리를 계속 유지하였다. 이는 아직까지도 금리인상 여부를 두고 경제회복 판단여부도 모호해 논의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Not any more. Shortly after lift-off, stockmarkets, which always doubted the Fed’s plans, tumbled on fears that disappointing growth in China would drag down the world economy. The S&P 500 lost 11% between the start of the year and its trough in mid-February. Surging spreads (the excess interest over government borrowing) on corporate bonds, often a sign of imminent economic woe, caused some pundits to predict a recession. And market-based measures of inflation expectations slumped. At one point in February, the gap between yields on inflation-protected bonds and the regular kind implied that inflation would average just 0.9% over five years—the lowest projection since 2009.

     

    *Spread(스프레드)-the difference in price between related securities, Bid-offer spread, between the buying and selling price of a commodity or security. Spread trade, between two related securities or commodities.

    * inflation-protected bonds 물가 연동 채권->TIPS (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더 이상은 그렇지 않다. 금리 인상(상승)직후에 연준의 계획(금리인상)을 매번 의심케한 주식시장은 기대에 못 미치는 중국의 성장이 세계경제를 끌어내릴 것이라는 두려움에 요동쳤다. S&P 500지수는 연초부터 2월 중순에 바닥을 칠때까지 11퍼센트 하락하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종종 급박한 경제적 고난을 나타내는 표시인 회사채의 스프레드(정부 차입 대비 초과이자율) 상승으로 불황을 예측하였다. 시장에 기반한 기대 인플레이션 수치는 급감하였다. 2월 한 시점에, 물가 연동 채권과 일반 채권의 수익률 차이는 5년 동안 2009년 이래 가장 낮은 예측치인 평균 0.9% 근처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Unsurprisingly, the Fed held fire in January and March. Janet Yellen, the Fed’s chairman, made it clear that global turbulence had forced a change of plan. Most of the rate-setters now forecast just two rate rises in 2016, bringing them into line with what the markets were forecasting in December. But markets, too, have adjusted their expectations downwards. Today, they reckon there is a one-in-three chance of no rate rises at all this year.

    *hold fore 행동(진척)을 미루다, 미뤄지다

    *bring into line(~와)보조를 맞추다, 맞추게 하다

     

     놀라울 것도 없이 , 연준은 1월과 3월 ( 금리인상 계획을) 연기하였다. 연준 의장인 자넷 옐런은 세계적인 동요가 계획을 시정토록 하였다고 명확히 밝혔다. 금리결정위원자들의 대다수는 2016년 올해 단 2차례의 금리 인상을 예측하고 있는데, 이는 12월에 예측되는 시장의 상황과 보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시장의 예측을 너무 하향조정하였다. 오늘, 그들은 금년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1/3이라고 본다.

     

    Last autumn the Fed signalled very clearly that it was preparing to raise rates. Its statement after the meeting that concluded on April 27th sent no such signal. Three-quarters of the economists polled before the meeting by the Wall Street Journal had expected a rate rise in June, at what is now the Fed’s next meeting. After this week’s dovish statement, they will surely put back that date.

     

    지난 가을, 연준은 금리 인상을 계획 중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4월 27일 회의에서 결정 이후 그 주장은 그러한 신호를 보이지 않았다. 그 회의 전 월스트리트 저널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의 75퍼센트가 다음번 연준 회의가 열리는 6월에 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번주 비둘기파적인 주장이 나온 후, 금리인상 날짜를 확실히 미룰 것으로 보인다.

     

     

    It is easy to see why the economists were wrong-footed. Markets have mostly shaken off their start-of-year woes (see Buttonwood). Oil prices have rebounded. On a trade-weighted basis the dollar, which had surged by 6% between the start of August and the end of January, is almost back where it started, as money has rushed out of dollar-denominated assets and into previously shunned investments elsewhere.  Most important, the labour market continues to fizz. Payrolls swelled by 215,000 in March—well above the level of employment growth needed to reduce slack in the economy. Even the labour-force participation rate, which had tumbled, is now recovering (see article). Ms Yellen recently said the Fed is “coming close” to its goal of full employment.

     

    경제학자들이 왜 헛다리를 짚고 있는지는 알기 쉽다. 시장은 거의 금년 초의 난제를 떨쳐버렸다. 유가는 반등하였다. 무역 가중치를 반영해 산출한 달러는 (작년)8월 초부터 (올해)1월 말 사이에 6퍼센트 급증했으나 이는 다시 처음 수준으로 돌아왔다.(->달러 약세로 돌아옴) 이는 달러로 표시된 자산에서 빠져나간 돈이 이전에 투자를 꺼리던 다른 곳으로 흘러나갔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 시장이 활기를 지속해서 띠고 있다는 점이다. 3월에 경제의 느슨한 부분(slack 유휴 노동력)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고용 성장률 수준보다 높은 215,000명 가까이 구직자들이 늘었다. 더욱이 하락했던  노동인구 참여율은 현재 회복추세를 보인다. 옐런 의장은 최근 목표치인 완전 고용상태에 거의 다 왔다고 언급했다.

     

    Inflation—the Fed’s other target—is also rising. The Fed’s preferred index of core inflation, which excludes volatile food and energy prices, is up by 1.7% year on year. The last time it was this high was in July 2014, just before oil prices tanked. Headline inflation is lower, at only 1%, but core inflation is generally a better predictor of where the headline rate is headed. As a result, simple so-called “Taylor rules” for monetary policy, which take into account both unemployment and inflation, suggest that lift-off is well behind schedule. This is true even when you adjust them in ways that Ms Yellen has advocated (see chart).

     

    *“Taylor rules”- 존 테일러(John Taylor)교수의 이론으로써 테일러준칙(Taylor's rule)이란 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성장률과 물가를 고려해야한다는 이론.

     

      연준의 또 다른 목표치인 인플레이션도 상승하고 있다. 연준이 선호하는 자주 변하는 식품과 에너지 물가를 제외한 근원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1.7% 가량 상승하였다. 주요 인플레이션율은 단지 1퍼센트 더 낮다. 하지만,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일반적으로 주요 금리가 나아가는 곳을 알려주는 더 나은 예측변수이다. 결과적으로, 통화정책에 있어 이른바 간단한 테일러준칙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을 모두 고려하는데 이는 금리인상이 예정보다 미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당신이 옐런의장이 지지한 방식대로(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하는 준칙) 테일러준칙을 적용할 경우에도 이는 사실이다.

     

    Why, then, the delay? Weak growth is one explanation. Growth in the first quarter of 2016, due to be revealed as The Economist went to press, was expected to be lacklustre, at less than 1% annualised. With the labour market creating so many jobs, GDP is stalling because of measly rises in productivity. There is little the Fed can do about that.

     

    그러면 왜 (금리 인상을) 늦추는 것인가? 약세 성장이 한 가지 이유다.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2016년 1분기 성장률이 연평균 1퍼센트에 못 미치는 활기가 없는 상태로 예측되었다. 노동시장이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음에도 생산성 부문의 미약한 상승분으로  GDP는  정체되어 있다.

     

    By the Fed’s standards, in short, the case for a rate rise on the basis of the domestic economy is strong. The new statement also sounded less concerned about the world economy. The Fed may have proved dovish so far this year, but that could change sooner than the markets seem to think. (*case for ~에 대한 옹호론)

     

    연준의 관점에서 보면, 요컨대 국내 경제상황에 기반한 금리인상에 대한 옹호론은 강력하다. 그 새로운 성명서는 세계 경제에 대한 고려는를 거의 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연준은 지금까지 평화주의적 태도를 보여왔으나 이는 시장이 (평화롭다고) 여겨지기도 전에 곧 바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의 기사를 읽으며 주요한 개념 포인트를 잡아보겠습니다.

     

    크게,  연방준비은행의 기준금리(Federal Fund target rate) vs  시장금리(Effective Federal Fund rate) &

     

      Taylor's Rule(테일러 준칙) & TIPS(Treasury Infaltion-Protected Securities) & Spread(스프레드 개념)

     

    이것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개념을 자기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공부!

     

    Ex) Spread(스프레드) - 이자율 차이 - Corporate bond(매도) vs Government Bond(매수)

     

     

     

       마지막으로, 오늘 토론의 주제는 Do you think the Fed should raise the rate in June? 입니다.

     

    여기서 "6월에" 라는 한정적인 시기를 고려하시고, 각자 자신의 의견을 정리해 에세이를 30분간 쓰신다면 좋은 마무리겠네요~!

     

    오늘은 좀 더 자세히 못 했지만, 정리는 하는 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모두 좋은 하루되세요~@

     

     

     

    그럼 내일 모레 다시 4일차 수업을 자세히 쓰겠습니다.

    평일은 피곤....하네요  모두 좋은 하루되세요~@

이전글 The Economist 통번역 + 영어토론 + 에세이- 4차 수업내용 후기 및 정리- 16.05.20-
다음글 The Economist 통번역 + 영어토론 + 에세이- 2일차 수업내용 후기 및 정리- 16.05.13-|